종합소득세 신고는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임대소득자 등 다양한 납세자가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절차예요.
하지만 직접 신고하는 것이 복잡하거나 세금 신고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세무사나 세무대행 업체를 통해 신고대행을 맡길 수도 있어요.
그렇다면, 종합소득세 신고대행 수수료는 얼마일까요?
오늘은 수입 금액, 신고 유형별 수수료와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1. 종합소득세 신고대행 수수료는 얼마일까?
세무대행 수수료는 수입 규모, 신고 방식, 추가 요청 사항 등에 따라 달라져요.
일반적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수수료가 저렴하며, 장부 기장이 필요한 경우 비용이 추가될 수 있어요.
① 수입 금액에 따른 신고대행 수수료
연 수입(매출) 신고대행 수수료 (VAT 포함)
2,000만 원 미만 | 약 5만 원 |
2,000만 원 ~ 4,000만 원 | 약 10만 원 |
4,000만 원 ~ 6,000만 원 | 약 15만 원 |
6,000만 원 ~ 8,000만 원 | 약 20만 원 |
8,000만 원 이상 | 별도 상담 후 결정 |
✔ 수입(매출)이 클수록 신고대행 비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요.
✔ 8,0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세무 기장이 필요할 수 있어 수수료가 달라질 수 있음
2. 종합소득세 신고 유형별 수수료
신고 유형에 따라 세무대행 수수료가 달라질 수 있어요.
특히, 간편장부 또는 복식부기 대상자는 일반 신고보다 비용이 높을 수 있어요.
① 단순경비율 신고 (소득 적은 프리랜서, 소규모 사업자)
- 수수료: 약 5만 원
-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자는 기본적인 신고만 진행하면 되므로 비용이 가장 저렴함
② 간편장부 신고 (연 매출 2,400만 원 이상 사업자)
연 매출 수수료
2,400만 원 ~ 7,500만 원 | 10만 원 |
7,500만 원 ~ 1억 5,000만 원 | 20만 원 |
✔ 간편장부 대상자는 일정 매출 이상부터 세무 신고가 복잡해질 수 있어 세무대행을 맡기는 경우가 많음
③ 복식부기 신고 (의무 대상자)
- 수수료: 약 30만 원 이상 (별도 상담 필요)
- 복식부기 신고 대상자는 매출과 지출을 정리하는 기장 업무까지 포함될 경우 비용이 더 올라갈 수 있음
✔ 복식부기 대상자는 반드시 장부를 작성해야 하므로, 세무대리인의 도움을 받는 것이 유리
3.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는 단순 신고 외에도 여러 가지 사유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 기한 후 신고, 수정 신고 (기존 신고 내용 정정) → 추가 수수료 발생
✔ 복식부기 대상자의 경우, 기장 대행 비용 별도 추가
✔ 소득 외 추가적인 소득(근로소득, 연금소득 등) 신고 시 건당 추가 비용 발생
✔ 경정청구(세금 환급 신청) 요청 시, 환급액의 일정 비율이 수수료로 책정될 수도 있음
📌 예를 들어, 기존 신고 내용에 누락된 소득이 있어 수정 신고하는 경우, 기존 수수료에 추가 요금이 부과될 수 있음
4. 종합소득세 신고대행, 꼭 맡겨야 할까?
직접 신고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세무대행을 맡기지 않아도 돼요.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전문 세무대리인을 통해 신고대행을 맡기는 것이 유리할 수 있어요.
✔ 소득이 많거나 신고해야 할 내역이 복잡한 경우
✔ 세법을 잘 모르거나 실수로 신고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 세금 절감 방법(세액공제, 감면 등)을 잘 활용하고 싶은 경우
✔ 소득 외에 금융소득, 임대소득, 기타소득 등 여러 가지 소득이 있는 경우
특히, 신고 내용이 복잡할 경우 세무대리인의 도움을 받으면 불필요한 세금 납부를 줄일 수도 있어요.
5. 종합소득세 신고대행 수수료 정리
✔ 연 매출 2,000만 원 미만 → 5만 원 내외
✔ 연 매출 2,000만 원 ~ 4,000만 원 → 10만 원 내외
✔ 연 매출 4,000만 원 이상 → 15만 원 ~ 30만 원 이상
✔ 복식부기 대상자 → 30만 원 이상 (별도 상담 필요)
📌 추가 비용 발생 가능성
✔ 기한 후 신고, 수정 신고 시 추가 비용 발생 가능
✔ 다른 소득과 합산 신고 시 건당 추가 수수료 부과될 수 있음
신고 내용이 간단하면 직접 신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소득 규모가 크거나 신고할 내용이 많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세무대행을 맡기기 전에 수수료와 제공 서비스 범위를 충분히 비교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환급금 지급날짜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정리 (1) | 2025.03.18 |
---|---|
종합소득세 필요경비 통신비 공제 가능할까? (1) | 2025.03.18 |
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환급 신청 방법과 절차 총정리 (1) | 2025.03.17 |
지방소득세 특별징수분 인터넷 납부 방법 – 쉽고 빠르게 처리하는 법 (0) | 2025.03.16 |
종합소득세 납부지연 가산세 – 미납 시 추가 부담과 해결 방법 (0) | 2025.03.14 |
종합소득세 대출원금상환공제 가능한가? (0) | 2025.03.13 |
종합소득세 신고 세무사 수수료 비용과 절차 총정리 (0) | 2025.03.12 |
종합소득세 납부기한 지나면 어떻게 될까? (0) | 2025.03.12 |
댓글